미항공우주국(NASA) 데이터
기상 데이터를 가져온 후, 월별 기상 데이터는 아래 항목으로 정리되어 표시됩니다.
📌 (참고1)주요 기상 정보
- 수평면 일사량[Global Horizontal Irradiation]: 월별 평균 수평면에 도달하는 태양광 에너지 양(단위: kWh/㎡/월)
- 수평면 확산 일사량[Horizontal Diffuse Irradiation]: 구름, 대기 확산에 의해 수평면으로 들어오는 일사량
- 온도[Temperature]: 월별 평균 기온(단위: ℃)
- NASA 데이터는 수평면 확산 일사량과 온도를 필수 정보로 제공하지만, 풍속이나 상대습도 등 세부 항목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Meteonorm 데이터와의 주요 차이점입니다.
📌 신규 사이트 저장하기
- 모든 데이터를 확인한 후 다음 단계를 통해 신규 사이트를 저장합니다.
- 확인[OK] 버튼을 클릭(1.Click) 합니다.
- 사이트 설정과 기상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저장됩니다.
기상청(KMA)데이터
PVsyst에서 기상청(KMA)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자동 가져오기[Import] 기능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수동 입력이 필요합니다.
📌 사이트 이름 설정
- 사이트 이름[Site name]에 프로젝트 위치에 맞는 이름을 입력합니다(참고1).
- 사이트 이름은 나중에 프로젝트를 선택하거나 저장할 때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상 데이터 가져오기
- 기상 데이터 가져오기[Weather data Import] 메뉴는 사용하지 않습니다(참고2).
- 기상청(KMA) 데이터는 Meteonorm이나 NASA 데이터와 다르게 수동 입력만 가능합니다.
월별 기상 데이터 입력
📌 (참고1)데이터 소스 이름 입력
- 데이터 소스의 이름을 “KMA 기상 데이터(1991-2020)” 와 같이 설정합니다.
- 데이터 종류와 기간을 명확하게 기록하면 나중에 데이터를 확인하기 쉽습니다.
📌 (참고2)기상청(KMA) 데이터 항목 입력
- 기상청(KMA) 엑셀 데이터에서 다음 항목을 확인하고 입력합니다.
- 수평면 일사량[Global Horizontal Irradiation] / 온도[Temperature] / 풍속[Wind Velocity]
- 기상청(KMA)에서 제공하는 엑셀 데이터를 이용해 해당 값들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 (참고3)일사량 단위 변환
- PVsyst의 기본 단위인 [kWh/㎡/월]에서, KMA 데이터의 일사량 단위인 [MJ/㎡/월]로 옵션을 변환해야 합니다.
📌 (참고4)데이터 복사 및 입력
- 기상청(KMA) 엑셀 파일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복사(1.Ctrl+C) 합니다.
- PVsyst 붙여넣기 버튼[Paste]을 클릭(2.Click)하여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 데이터를 복사 및 붙여넣기하면 값이 가로 및 세로 형식에 맞게 자동 조정됩니다.
📌 신규 사이트 저장하기
- 모든 데이터를 확인한 후 다음 단계를 통해 신규 사이트를 저장합니다.
- 확인[OK] 버튼을 클릭(3.Click) 합니다.
- 사이트 설정과 기상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저장됩니다.
. SIT와 .MET 파일 생성
모든 데이터를 입력하고 확인 후, PVsyst는 최종적으로 지리적 사이트 파일(.SIT)과 기상 데이터 파일(.MET)을 생성합니다.
- 파일 이름 설정: 파일 이름을 입력합니다(참고1).
- 파일 저장: 저장[Save] 버튼을 클릭(1.Click) 합니다.
- 메시지 창이 뜨면, 안내에 따라 확인[OK] 버튼을 계속 클릭(2~4.Click)해서 .SIT와 .MET 파일을 생성합니다.
- 파일 활용
- .SIT 파일: 지리적 좌표 및 기상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MET 파일: 해당 지점의 기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시뮬레이션에 사용됩니다.
지리적 사이트 등록 확인
지리적 사이트 설정을 완료하면 지리적 사이트 선택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여기서 이전에 작업한 사이트 정보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등록 확인 절차
- 작업했던 사이트가 목록에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참고1).
- 파일 이름 및 국가, 데이터 소스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검토합니다.
- 모든 내용을 확인했다면 닫기[Close] 버튼을 클릭(1.Click)하여 지리적 사이트 설정을 마무리 합니다.
Part1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
각 기상 데이터의 특징을 알고 싶다면? ▶ 여기를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