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syst 시뮬레이션, 보고서 해석과 출력 노하우 대공대, Part1

 

    PVsyst 프로젝트의 마지막 단계, PVsyst 시뮬레이션[Simulation]이 궁금하다면 제대로 찾아오셨습니다! 이제까지 설정한 모든 정보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스템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의 보고서를 출력해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에게 신뢰를 줄 차례입니다.

    PVsyst를 사용한 시뮬레이션[Simulation]은 단순히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넘어, 태양광 발전소의 경제성 분석, 발전략 최적화, 투자 효율 극대화까지 책임질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본 글에서는 시뮬레이션[Simulation] 실행 방법부터 결과 보고서 해석의 핵심 포인트까지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실행

    모든 설정을 마치고 최종 결과값을 도출하는 작업만 남았습니다. 어떤 오류메시지도 없다면, 시뮬레이션 실행[Run Simulation]클릭(1.Click)합니다.

 

상세결과

    PVsyst 시뮬레이션 결과는 태양광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화하는데 필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결과로 나와있는 시뮬레이션 매개변수[Simulation parameters]와 주요 결과[Main results]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과 발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 상세 결과

  • (참고1)시뮬레이션 매개변수[Simulation parameters]
    1. 프로젝트명, 지리적 사이트, 모듈 및 인버터 정보 등 기본적인 입력값이 결과의 기반이 됩니다.
    2. 여기 나와있는 데이터는 프로젝트의 기술적인 조건을 정의하며, 결과 해석의 출발점이 됩니다.
  • (참고2)주요 결과[Main results]
    1. 연간 발전량[MWh/년]성능비[Performance Ratio]을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성능비[Performance Ratio]는 시스템이 이론적인 출력 대비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이번 프로젝트는 78.1%의 효율로 작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이 외에도 연간 발전시간과 평균 시스템 효율 등은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설계를 도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2

📌 분석 결과

  • (참고3)일별 입력/출력 다이어그램[Daily Input/Output diagram]
    1. 하루 동안 태양광 시스템에 입력된 일사량과 시스템에서 출력된 에너지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줍니다.
    2. 그래프의 점들이 직선에 가까울수록, 태양광 패널이 입력된 일사량에 따라 출력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성했음을 의미합니다. 즉, 태양광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 점들이 직선에서 많이 벗어나거나 퍼져 있는 경우, 시스템에 손실 요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손실 요인은 음영, 열로 인한 출력 감소, 또는 시스템 자체의 비효율성 등이 될 수 있습니다.
    4. 즉, 그래프에서 점들이 직선에 가까우면 시스템이 이상적으로 작동한 것이고, 점들이 흩어져 있으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 (참고3)성능비[Performance Ratio PR]
    1. 태양광 시스템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시스템이 이론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에너지에 비해 실제로 생성된 에너지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2. PR=0.781은 시스템이 이론적인 출력 대비 약 78.1%의 효율로 작동했음을 의미합니다.
  • (참고4)시스템 출력 전력 분포[System Output Power Distribution]
    1. 시스템의 출력 전력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히스토그램으로 보여줍니다.
    2. 이 그래프는 시스템의 출력 전력 분포를 보여주며, 출력 전력이 특정 구간에 많이 몰려 있다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3. 반대로, 출력이 낮은 구간에 데이터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면, 흐린 날씨, 음영, 또는 기타 손실 요인이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큽니다.
    4. 그래프에서 출력 전력이 높은 구간에 집중되어 있다면 “정상적인 운영”을 의미하며, 출력이 낮은 구간에 많다면 개선해야 할 요인이 있다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참고4)어레이 온도 vs 유효 일사량
    1. 어레이의 작동 온도와 태양광 패널에 도달한 유효 일사량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2. 점들이 직선적인 경향을 보이면, 일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어레이 온도가 상승하는 일반적인 패턴을 나타냅니다.
    3. 고온 구간에서 점이 집중되어 있다면, 패널 온도가 높아져 시스템 성능이 저하(온도 손실)될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보고서 출력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

    상세 결과를 확인 후, 보고서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보고서[Report]클릭(1.Click)합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1

📌 Page1.: 보고서의 가장 앞장은 프로젝트[Project]의 제목과 전력 등의 간략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2

📌 Page2.: 프로젝트와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 결과를 보여줍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3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4

📌 Page3., 4.: 주요 매개변수[Main parameters]인 방향[Orientation], 시스템[System], 상세손실[Detailed losses] 정보를 보여줍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5

📌 Page5.: 지형에 대한 수평선[Horizon] 정보를 보여줍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6

📌 Page6.: 주변음영[Near Shadings]으로 작성했던 3D 정보와 음영분석 정보를 보여줍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7

📌 Page7.: 주요 결과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보여줍니다.

  • 참고1: 프로젝트의 PR값을 보여줍니다.
  • 참고2: 프로젝트의 손실과 발전량 값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정규화 시스템 발전량을 보면, 이번 프로젝트 발전시간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8

📌 Page8.: 손실 결과에 대해 다이어그램으로 보여줍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9

📌 Page9.: 시뮬레이션 실행에 나온 정보를 보고서에서 출력해서 보여줍니다.

 

03_32. PVsyst 시뮬레이션_시뮬레이션 결과_보고서_page10

📌 Page10.: P50-P90 평가에 대한 결과값을 보여줍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