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함께 보면 좋은 관련 글
01_00. 인사이트 목차
인사이트와 관련된 글의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01_02. 태양광 에너지란? 무한한 햇빛을 전기로 바꾸는 기술
태양광이란 무엇인지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03_T_10. [Part1] BNPI란 무엇인가? 태양광 양면형 모듈 후면 인증 제도 완전 해설
03_T_11. [Part 2] BNPI 기준 적용, 태양광 발전소 설계와 제도 변화 총정리
BNPI에 대해서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태양광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기존의 단면형 모듈만을 기준으로 했던 출력 인증 체계는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양면형(bifacial) 모듈이 확산되면서, 후면 발전 기여를 어떻게 정량화하고 반영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BNPI(Bifacial Nameplate Irradiance) 제도입니다. BNPI는 단순한 표기 변경을 넘어, 발전소 설계, 인허가, 인증 절차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BNPI의 개념과 측정 방법, 설계와 제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향후 전망까지 핵심만 추려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핵심내용 요약
BNPI는 양면형 태양광 모듈의 후면 발전 기여를 반영해 출력 기준을 새롭게 정립한 제도로, 모듈 비교와 설계 최적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BNPI 도입은 발전소 용량 산정, 인버터 선정, 전기적 보호설계 등 설계 전반에 큰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초기 혼란과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BNPI는 글로벌 표준화 흐름에 따라 장기적으로 산업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입니다.
.
BNPI란 무엇인가?
BNPI(Bifacial Nameplate Irradiance) 는 태양광 양면형 모듈의 출력 정격을 새롭게 규정하는 제도입니다. 전통적인 단면형 모듈은 STC(앞면 1000 W/㎡) 조건만 기준으로 출력이 측정되었지만, 양면형 모듈은 후면 발전이 추가로 이루어집니다. BNPI는 이를 반영하여, 앞면 1000 W/㎡ + 후면 135 W/㎡ 조건으로 출력 시험을 수행하고 명판 출력(Nameplate Power)을 정합니다.
BNPI 적용 시 양면형 모듈의 출력은 기존 STC 대비 약 10% 이상 상승합니다. 예를 들어 STC 기준 400 W 모듈은 BNPI 기준으로 440~450 W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 발전량 예측 및 설계 최적화를 돕기 위한 국제 통일 기준으로, IEC를 포함한 글로벌 표준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BNPI가 태양광 설계에 미치는 변화
BNPI 기준을 적용하면 태양광 발전소 설계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시스템 용량 산정 방식이 달라져, 기존보다 적은 수량으로도 허가 용량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NPI 기준 출력을 고려해 초기 설계 및 인허가 준비가 필요합니다.
또한, BNPI 적용 시 단락전류(Isc)가 증가하므로 케이블, 퓨즈, 차단기 등 보호장비 설계도 상향 조정해야 합니다. 특히 스트링 전류 급등을 대비하는 보수적 설계가 필요하며, 이는 국제 규격(IEC) 에서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발전량 예측에서는 PVsyst 등의 프로그램에 양면율(Bifaciality Factor) 과 지면 반사율(Albedo)를 입력해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해야 합니다.
.
BNPI의 장점과 단점
BNPI는 후면 발전 기여를 정확히 반영한 정량적 성능 평가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소비자는 모듈을 명확히 비교할 수 있고, 설계자는 정확한 발전량 예측과 안전한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BNPI는 국제 표준화 흐름에 부합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반면, 추가 시험과 재인증 부담, 이중 출력 표기로 인한 소비자 혼란, 실제 현장성과의 차이, 시험 설비 비용, 정책 전환기의 혼란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BNPI는 필수 제도이지만, 시장 안정화를 위해 체계적인 안내와 단계적 정비가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
BNPI 제도 도입의 쟁점과 전망
BNPI 도입은 여러 장점을 가져왔지만, 초기에는 발전소 용량 초과, REC 발급 차질 등으로 혼란을 초래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BNPI 적용 유예 및 과도기적 조치를 취했습니다. 향후에는 ▲ AC용량 또는 실제 발전량 기준으로 전환, ▲ 명확한 BNPI 반영 규정 마련 등 제도 개선이 추진될 예정입니다.
국제적으로도 IEC, IEA 등을 중심으로 BNPI와 유사 개념이 확산되고 있어, 국내 업계 역시 후면 투광성 개선, 셀 구조 혁신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BNPI는 양면형 모듈 시대의 필수 업그레이드이며, 태양광 산업의 투명성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