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syst

PVsyst 시뮬레이션, 보고서 해석과 출력 노하우 대공대, Part2

보고서 출력 설정 보고서를 출력해서 결과를 보면, 분명히 설정했지만 보고서에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보고서 옵션[Report options]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니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보고서 옵션[Report options]을 클릭(1.Click)합니다. 📌 일반 옵션[General options] (참고1)머리말[Page header] 정보를 수정할 수 있으며, 회사의 경우 로고 가져오기[Import logo]를 선택하면 회사 로고를 보고서에 […]

PVsyst 시뮬레이션, 보고서 해석과 출력 노하우 대공대, Part2 Read More »

PVsyst 시뮬레이션, 보고서 해석과 출력 노하우 대공대, Part1

PVsyst 프로젝트의 마지막 단계, PVsyst 시뮬레이션[Simulation]이 궁금하다면 제대로 찾아오셨습니다! 이제까지 설정한 모든 정보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스템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의 보고서를 출력해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에게 신뢰를 줄 차례입니다. PVsyst를 사용한 시뮬레이션[Simulation]은 단순히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넘어, 태양광 발전소의 경제성 분석, 발전략 최적화, 투자 효율 극대화까지 책임질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본 글에서는 시뮬레이션[Simulation] 실행 방법부터 결과 보고서

PVsyst 시뮬레이션, 보고서 해석과 출력 노하우 대공대, Part1 Read More »

PVsyst 에너지 관리: 태양광 프로젝트의 성과 예측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계와 시뮬레이션에서 에너지 관리는 단순한 설정을 넘어, 프로젝트의 성과를 예측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P50-P90 추정값은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의 불확실성을 평가하는데 핵심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PVsyst의 에너지 관리 옵션은 인버터 온도 제어, 역률 조정, 계통망 전력 제한, 그리고 P50-P90 추정값과 같은 세부 설정을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정확히 시뮬레이션합니다. 이 중 P50-P90 추정값은 발전량의

PVsyst 에너지 관리: 태양광 프로젝트의 성과 예측 Read More »

PVsyst 모듈 배치: 모듈 배치와 3D 배치의 완벽한 조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계에서 모듈 배치와 3D 배치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핵심 요소입니다. 모듈 배치는 단순히 패널을 배열하는 작업이 아니라, 시스템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1차 손실(일사량 차단)과 2차 손실(전기적 미스매칭)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입니다. 특히, 스트링 연결 방식은 발전 성능의 균형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흐름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Vsyst의 3D

PVsyst 모듈 배치: 모듈 배치와 3D 배치의 완벽한 조화 Read More »

PVsyst 주변음영 설정: 3D 배치로 설계 최적화하기, Part3

3D 음영 배치 작성 방법 평지라면 크게 문제 없겠지만, 태양광 설비 인근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는 추가로 작성해야 합니다. 나무를 그리기 위해서는 마우스로 객체 그리기[Draw objects with the mouse] 옵션을 클릭(1.Click)하고, 나무[Tree]를 클릭(2.Click) 합니다. 집+양면 지붕[House+2-sided roof]와 마찬가지로, 지면을 클릭해서 ① 방향으로 원형을 그리고, ② 방향으로 나무의 길이를 높여서 나무를 완성시켜줍니다. 그리고 클릭하여 선택[Selection by click]을

PVsyst 주변음영 설정: 3D 배치로 설계 최적화하기, Part3 Read More »

PVsyst 주변음영 설정: 3D 배치로 설계 최적화하기, Part2

3D 음영 배치 작성 방법 Part 1에서 그린 집의 방향을 수정해보겠습니다. 선택 객체 회전[Rotate selection]을 클릭(1.Click)합니다. 파란색 원을 클릭해서 방위각을 변경하거나, 왼쪽 방향[Orientation] 옵션을 통해 직접 방위각[Azimuth]을 입력하면 됩니다(참고1). 방위각에서 (+)는 시계방향으로 돌아가고, (-)는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갑니다. 방위각을 입력할 때는, 사전 주요 매개변수[Main parameters]의 옵션 중 하나인 방향[Orientation]에서 입력했던 방위각과 동일한 값을 입력해야 합니다. 모듈 배치

PVsyst 주변음영 설정: 3D 배치로 설계 최적화하기, Part2 Read More »

PVsyst 주변음영 설정: 3D 배치로 설계 최적화하기, Part1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계에서 주변 음영(3D 배치)은 단순한 공간 배치가 아닌,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특히, 패널 간 음영, 주변 건물, 나무와 같은 장애물의 영향을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설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Vsyst의 3D 배치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음영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 정확한 발전량 예측과 최적의

PVsyst 주변음영 설정: 3D 배치로 설계 최적화하기, Part1 Read More »

PVsyst 수평선 설정: 지형 장애물에 따른 발전량 영향 분석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실제 발전량은 태양광 모듈이 받는 일사량뿐만 아니라 주변 지형과 장애물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산악 지역이나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수평선[Horizon] 설정을 통해 태양이 특정 시간대에 차단되는 영향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Vsyst에서 수평선을 설정하는 방법과 각 옵션의 의미를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수평선 설정은 단순한 지형 분석을 넘어, 태양광 시스템의 실질적인 발전

PVsyst 수평선 설정: 지형 장애물에 따른 발전량 영향 분석 Read More »

PVsyst 자체소비 및 전력저장: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 전략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단순히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넘어, 어떻게 소비하고 저장하느냐에 따라 경제성과 운영 효율이 크게 달라집니다. PVsyst에서는 자체 소비[Self-consumption] 및 전력 저장[Storage] 옵션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에너지 자립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Vsyst에서 자체 소비 및 전력 저장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과 주요 옵션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태양광 시스템의 운영

PVsyst 자체소비 및 전력저장: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 전략 Read More »

PVsyst 상세손실: 실제 성능을 반영하는 핵심 단계, Part2

IAM 손실 정보 입력 IAM 손실[IAM Losses]은 태양광 모듈이 입사각에 따라 발생하는 광 손실을 계산하는 항목입니다. 태양광 모듈에 도달하는 빛의 입사각이 90도에 가까울수록 모듈이 흡수하는 에너지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손실 값이 IAM(Incidence Angle Modifier)입니다. IAM 손실[IAM Losses] 탭에서는 입사각과 관련된 손실 계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그래프를 통해 태양광 패널의 특정 입사각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시각적으로

PVsyst 상세손실: 실제 성능을 반영하는 핵심 단계, Part2 Read More »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