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syst 방향 설정: 태양광 시스템 효율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Part2

 

돔 정보 입력

03_20. PVsyst 방향 설정_프로젝트_방향관리_필드유형_돔

    돔[Domes]곡면형 지붕 또는 곡률이 있는 구조물 위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설정입니다. 이 옵션은 일반적으로 곡선 표면 위에서 모듈의 방향(방위각 및 경사각)을 설정하거나, 곡면의 여러 구역에 대해 각기 다른 설정을 적용할 때 활용됩니다.

📌 설정 항목

  • 돔 앞면[Dome front face]에 나와있는 옵션을 설정합니다(참고1).
    1. 평면 경사각[Plane tilt]: 모듈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로, 일반적으로 0°(수평)에서 90°(수직) 사이로 설정됩니다. 경사각은 시스템 위치(위도)에 따라 최적 값을 조정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방위각[Azimuth]: 태양광 모듈이 남쪽(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을 바라보는지를 나타냅니다. (0º: 정남 / +90º: 서 / -90º: 동)
  • 돔 뒷면[Dome backface]의 값은 자동으로 계산되서 입력됩니다.
  • 방향 추가[Add orientation] 기능을 통해 경사각과 방위각이 다른 여러 그룹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모든 정보를 입력 후, 확인[OK]클릭(1.Click)합니다.

 

고정 가변형 정보 입력

03_20. PVsyst 방향 설정_프로젝트_방향관리_필드유형_고정가변형

    고정 가변형[Seasonal Tilt Adjustment]계절에 따라 패널의 경사각을 수동으로 조정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겨울과 여름에 다른 경사각을 적용하여 더 많은 일사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 설정 항목

  • 필드 매개변수[Field parameters]에 나와 있는 옵션을 설정합니다(참고1).
    1. 여름 경사각[Summer Tilt]: 여름철 모듈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로, 일반적으로 0°(수평)에서 90°(수직) 사이로 설정됩니다.
    2. 겨울 경사각[Winter Tilt]: 겨울철 모듈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로, 일반적으로 0°(수평)에서 90°(수직) 사이로 설정됩니다.
    3. 방위각[Azimuth]: 태양광 모듈이 남쪽(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을 바라보는지를 나타냅니다. (0º: 정남 / +90º: 서 / -90º: 동)
  • 일반적으로 겨울철은 1월~3월과 10월~12월로 설정합니다(참고2).
  • 방향 추가[Add orientation] 기능을 통해 경사각과 방위각이 다른 여러 그룹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 방식은 여름과 겨울의 태양 고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계절에 맞춰 각도를 조정하여 발전량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여름에는 태양이 높이 떠 있기 때문에 경사각을 낮게 설정하고, 겨울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 경사각을 높게 설정합니다.
  • 모든 정보를 입력 후, 확인[OK]클릭(1.Click)합니다.

 

무제한 창고 정보 입력

03_20. PVsyst 방향 설정_프로젝트_방향관리_필드유형_무제한창고

    무제한 창고[Unlimited Sheds]모듈이 긴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는 구조를 말합니다. 주로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에서 사용되며, 모듈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일사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설계 방식입니다.
    이 구조는 모듈 간의 간격을 최적화하여 최대한의 일사량을 확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Vsyst 프로그램의 한글 버전에서는 “무제한 창고”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무제한 배열” 또는 “대규모 열 배치”라는 표현이 더 적합해 보입니다.

📌 설정 항목

  • 방향 매개변수[Orientation parameters]에 나와 있는 옵션을 설정합니다(참고1).
    1. 평면 경사각[Plane tilt]: 모듈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로, 일반적으로 0°(수평)에서 90°(수직) 사이로 설정됩니다. 경사각은 시스템 위치(위도)에 따라 최적 값을 조정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방위각[Azimuth]: 태양광 모듈이 남쪽(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을 바라보는지를 나타냅니다. (0º: 정남 / +90º: 서 / -90º: 동)
    3. 창고 수량[Nb. of sheds]: 열의 개수입니다. 배열의 길이나 부지에 따라 설정합니다.
  • 창고 매개변수[Sheds parameters]에 나와 있는 옵션을 설정합니다(참고2).

 

03_20. PVsyst 방향 설정_프로젝트_방향관리_필드유형_고정가변형_참고자료

    1. 이격거리[Pitch]: 모듈 간의 거리로, 음영이 다음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2. 집광면 밴드 너비[Coll. Band width]: 모듈이 빛을 받는 활성 영역의 너비를 의미합니다.
    3. 상부 비활성 밴드[Top inactive band]: 태양광 모듈의 상단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물에 해당합니다. 이 영역은 실질적인 발전에 기여하지 않으며, 그림자 분석 시 그늘을 만들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하부 비활성 밴드[Bottom inactive band]: 모듈 하단의 프레임 또는 설치 구조물의 일부입니다. 상부와 마찬가지로 셀이 없는 영역이며, 시스템 설계 시 실제 발전 가능 면적과의 구분을 명확히 해주는 요소입니다.
    5. 부지 이용율 GCR[Ground Cov. Ratio GCR]: 집광면 밴드 너비[Coll. Band width]와 이격거리[Pitch]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 전기 효과[Electrical effect] 옵션(참고3)에서 “시뮬레이션에 적용[Use electrical effect in simul.]”을 선택하면 3D 모델링 없이도 2차 전기 손실을 간략하게 검토할 수 있어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전기 효과 설정은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조정하면 되며, 평면 경사각(모듈 각도)에 따라 음영 발생 구역이 변할 수 있습니다. 음영 발생 구역을 확인하려면 음영 그래프클릭(1.Click)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03_20. PVsyst 방향 설정_프로젝트_방향관리_필드유형_무제한창고_설명추가

03_20. PVsyst 방향 설정_프로젝트_방향관리_필드유형_무제한창고_태양 경로 다이어그램


03_20. PVsyst 방향 설정_프로젝트_방향관리_필드유형_무제한창고_설명추가_2

03_20. PVsyst 방향 설정_프로젝트_방향관리_필드유형_무제한창고_태양 경로 다이어그램_2

📌 음영 한계 각도[Shading limit angle]

  • 음영 한계 각도태양이 특정 각도로 비출 때 모듈 간 음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임계 각도를 말합니다(참고1).
    1. 이 값이 높아질수록 음영으로 인한 손실 가능성이 커지며, 따라서 모듈 간의 간격을 더 넓게 설정해야 합니다.
    2. 국내에서는 평균적으로 23°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으나, 지역별 일사량과 설치 목적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

    PVsyst에서는 양면 시스템을 설정할 때 무제한 창고[Unlimited Sheds] 무제한 차광 배치형[Unlimited trackers]만 지원합니다. 이는 양면 모듈이 후면에서도 빛을 받아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후면에서의 반사광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설계입니다.

    무제한 창고와 무제한 차광 배치형 설정은 시스템의 끝부분에서 발생하는 에지 효과를 무시하고, 전체 구조를 반복적인 창고나 트래커 배열로 간주하여 단순한 2D 모델로 시뮬레이션 합니다. 이 모델은 대규모 배열이나 정규적인 설치에 적합하며, 각 트래커나 창고 사이의 간격과 높이를 설정해 양면 모듈의 효과를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양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PVsyst에서 이 두 가지 옵션 외에 다른 방향 옵션(예: 고정 경사 평면, 다중 방향, 고정 가변형 등)을 선택할 경우에는 3D 설계를 필수로 진행해야 합니다. 이는 2D 모델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시스템 입력 절차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PVsyst 프로젝트 첫 설정이 궁금하다면? ▶ 여기를 클릭!

Part1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 여기를 클릭!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