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통연계형 인버터 추가 매개변수 입력
추가 매개변수[Additional parameters]는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참고1)다중 MPPT[Multi-MPPT]
- MPPT 입력 수[Number of MPPT inputs]
- 인버터에 연결할 수 있는 최대 MPPT(최대 전력점 추적기)의 수를 입력합니다.
- MPPT는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하는 전력을 최적화하는데 사용됩니다.
- MPP Trackers 수(Number of MPP Trackers)
📌 (참고2)변압기(Transformer)
- 옵션 선택
- 지정하지 않음[Not Specified]: 변압기 옵션을 정의하지 않을 때 선택
- 무변압기[Transformerless]: 변압기가 없는 인버터
- 변압기[Transfo(Not Specified)]: 변압기가 있는 인버터
- 저주파 변압기[LF Transformer]: 저주파를 사용하는 변압기로, 더 무겁지만 높은 신뢰성 제공
- 고주파 변압기[HF Transformer]: 고주파를 사용하는 변압기로, 경량화와 높은 효율성 제공
📌 (참고3)스트링 인버터[String inverter]
- 스트링 입력 수[Number of string input]
- 인버터에 연결할 수 있는 스트링 입력 수를 설정합니다.
- 스트링 수는 안전성과 시스템 효율성을 최적화하는데 필수적입니다.
📌 (참고4)주/부[Master/Slave]
- 주/부 모드
- 주/부[Master/Slave] 모드는 특정 인버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능으로, 두 개의 인버터가 협력하여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합니다. 이 방식은 저전력에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여 전체 효율을 약 1~2%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기능 유무에 따라 옵션(주/부 기능 없음[No M/S capability], 주[Master], 부[Slave], 주/부[Master/Slave], 내부 주/부 기능[Internal M/S])을 선택하면 됩니다.
📌 (참고5)기타 사양[Other specifications]
- 카탈로그나 인버터 정보에 나와 있는 기타 선택 옵션을 입력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출력 매개변수[Output parameters] 탭을 클릭(1.Click)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계통연계형 인버터 출력 매개변수 입력
📌 (참고1)역률[Power factor]
- Cos(phi) 진상/지상[Cos(phi) Leading/Lagging]
- 역률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피상 전력 대비 유효 전력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 보통 0.8 ~ 1.0 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이 1에 가까울수록 효율이 높습니다.
- 상업용 인버터의 최소 역률 설정 값은 일반적으로 0.8입니다.
- Tan(phi) 최대/최소[Tan(phi) min/max]
- 전기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 사이의 위성차를 나타냅니다.
- Cos(phi) 값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상업용 및 산업용 설비에서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공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역률을 보통 0.8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크기와 기술[Sizes and Technology] 탭을 클릭(1.Click)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계통연계형 인버터 크기와 기술 입력
크기와 기술[Sizes and Technology]에서는 인버터의 기술적 특징을 입력합니다.
📌 (참고1)크기[Sizes]
- 인버터의 물리적 크기를 입력합니다.
- 너비[Width], 깊이[Depth], 높이[Height], 무게[Weight]를 입력합니다.
📌 (참고2)동적 조건-한계에서의 동작[Operating conditions-Behaviour at limits]
- Pnom에서의 동작[Behaviour at Pnom]
- 한계[Limtation]: 공칭 전력[Pnom]를 초과하더라도 안전한 범위 내에서 동작을 제한합니다.
- 차단[Cut]: 공칭 전력을 초과할 경우 즉시 작동을 멈춥니다.
- 저녁까지 차단[Cut up to evening]: 특정 시간 동안 작동을 중단시킵니다.
- Vmin/Vmax에서의 동작[Behaviour at Vmin/Vmax]
- 한계[Limatation]: 전압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동작을 제한하여 안전을 유지합니다.
- 차단[Cut]: 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나면 작동을 즉시 멈춥니다.
- 동작모드[Operating mode]
- MPPT: 최대 전력점 추적(Maximum Power Point Tracking) 모드로 작동합니다.
- 고정 전압[Fixed voltage]: 고정된 전압에서 작동합니다.
나머지 상업 자료[Commercial data] 탭은 신뢰성이 다소 부족하므로 별도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상업 자료가 필요한 경우, 태양광 기업에 종사하는 담당자에게 요청하는 것이 더 신뢰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입력을 완료한 후, 확인[OK] 버튼을 클릭(1.Click)하여 마무리합니다.
계통연계형 인버터 등록 완료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계통연계형 인버터 선택 화면에 새로 등록한 인버터가 리스트에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참고1).
📌 등록 완료 후 확인 단계
- 등록된 인버터 확인
- 화면 상단의 제조업체[Manufacturer] 목록에서 선택한 제조사를 확인합니다.
- 방금 등록한 모델명이 리스트에 나타납니다.
- 인버터 선택: 원하는 인버터를 선택합니다.
- 확인 후 닫기[Close] 버튼을 클릭(1.Click)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됩니다.
간편한 계통연계형 인버터 등록 방법
인버터의 사양을 수동 입력하는 복잡한 과정을 대체하는 더 간편한 방법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OND 파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OND 파일은 제조사가 PVsyst 전용 데이터 형식으로 제작한 파일로, 해당 파일을 사용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버터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 간편 등록 절차
- 1단계: 제조사에게 .OND 파일 요청
- 먼저 인버터 제조사에게 .OND 파일을 요청합니다.
- .OND 파일은 PVsyst에 필요한 인버터의 모든 전기적/기술적 사양이 포함된 데이터 파일입니다.
- 2단계: 파일 저장 위치
- 제조사에서 받은 .OND 파일을 다음 경로에 저장합니다.
- [C: → 사용자(Users) → <Users name> → PVsyst8.0_Data → ComposPV → Inverters]
- 3단계: PVsyst 재실행
- .OND 파일을 저장한 후, PVsyst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다시 실행합니다.
- 재실행을 통해 PVsyst는 새로 추가된 .OND 파일을 자동으로 인식합니다.
- 4단계: 계통연계형 인버터 확인
- 데이터베이스[Databases] → 계통연계형 인버터[Grid Inverter] 메뉴로 이동합니다.
- 제조사 또는 모델명을 검색하면 새로 추가된 인버터가 리스트에 표시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인버터 등록이 더욱 간편해지며, 제조사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PVsyst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조사와 협력하여 최신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PVsyst의 설정 및 데이터 경로는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최신 버전의 사용자 가이드를 참조하여 정확한 경로와 절차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Part1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여기를 클릭!